6. 약물 상호 작용
1) CYP3A/P-gp 유도제
(생략)
2) CYP3A 및/또는 P-gp 억제제
이 약을 강력한 CYP3A 및 P-gp 억제제(이트라코나졸)와 함께 투여 시 이 약의 노출이 건강한 성인 환자에서 약 2.2배 증가하였고, 재발성 또는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약 1.5배 증가하였다.
이 약을 강력한 CYP3A 및/또는 P-gp 억제제 (예: 보리코나졸, 이트라코나졸, 포사코나졸, 클래리트로마이신, 에리스로마이신, 캅토프릴, 카르베딜롤, 리토나비르, 아지스로마이신)과 함께 투여 시 이 약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체 약물을 고려하고 강력한 CYP3A 및/또는 P-gp 억제제를 투여해야하는 경우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반응을 더 자주 모니터링한다.
3) 다른 약물에 대한 이 약의 영향
생체 외 데이터를 바탕으로, 이 약은 5HT2B 수용체 또는 시그마 비 특이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(예: 에스시탈로프람, 플루옥세틴, 설트랄린)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. 환자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지 않으면, 이들 약물과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. |
6. 약물 상호 작용
1) CYP3A/P-gp 유도제
(생략)
2)CYP3A, P-gp 및/또는 유방암 저항성 단백질(BCRP) 억제제
이 약을 강력한 CYP3A, P-gp 억제제 및 BCRP 억제제(이트라코나졸)와 함께 투여 시 이 약의 노출이 건강한 성인 환자에서 약 2.2배 증가하였고, 재발성 또는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약 1.5배 증가하였다.
이 약을 강력한 CYP3A, P-gp 및/또는 BCRP 억제제(예: 보리코나졸, 이트라코나졸, 포사코나졸, 클래리트로마이신, 에리스로마이신, 캅토프릴, 카르베딜롤, 리토나비르, 아지스로마이신)와 함께 투여 시 이 약의 혈장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대체 약물을 고려하고 강력한 CYP3A, P-gp 및/또는 BCRP 억제제를 투여해야하는 경우 신중히 투여하고 이상반응을 더 자주 모니터링한다.
3) 다른 약물에 대한 이 약의 영향 In vitro 데이터를 바탕으로, 이 약은 5HT2B 수용체 또는 시그마 비 특이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(예: 에스시탈로프람, 플루옥세틴, 설트랄린)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. 환자 치료를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단되지 않으면, 이들 약물과의 병용은 피해야 한다. 이 약은 in vitro에서 P-gp, BCRP 및 유기 양이온 운반체1(OCT1)의 억제제이다. 이 약은 치료 용량에서 운반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P-gp 기질(예: 디곡신, 다비가트란 에텍실레이트), BCRP 기질(예: 미톡산트론, 로수바스타틴) 및 OCT1 기질(예: 메트포르민)과 병용 투여하는 동안 주의가 필요하다. |
14. 전문가를 위한 정보
1) 임상약리
(2) 약동학적 특성
④ 대사
In vitro 데이터에 따르면, 길테리티닙은 주로 CYP3A4를 통해 대사된다. 인체 내에 형성된 주요 대사산물은 M17(N-탈알킬화 및 산화 작용을 통해 형성됨), M16과 M10(모두 N 탈알킬화를 통해 형성됨)이며, 이는 동물에서도 관찰되었다. 세 가지 대사산물들 중 어느 것도 모체 내 전체 노출량의10%를 초과하지 않았다. |
14. 전문가를 위한 정보
1) 임상약리
(2) 약동학적 특성
④ 대사
In vitro 데이터에 따르면, 길테리티닙은 주로 CYP3A4를 통해 대사된다. 인체 내에 형성된 주요 대사산물은 M17(N-탈알킬화 및 산화 작용을 통해 형성됨), M16과 M10(모두 N 탈알킬화를 통해 형성됨)이며, 이는 동물에서도 관찰되었다. 세 가지 대사산물들 중 어느 것도 모체 내 전체 노출량의10%를 초과하지 않았다. 운반체 약물-약물 상호작용 In vitro 실험에서 길테리티닙이 P-gp 및 BCRP의 기질임이 입증되었다. 길테리티닙은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농도에서 BCRP, P-gp 및 OCT1을 잠재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(6. 약물 상호 작용 항 참조). |